◈ 방문목적 : 청송심씨 22세손 심흥택 울릉군수 사적답사 ◈ 답사기간 : 2025.8.21.~23 (2박3일) ◈ 방 문 단 : 총무이사 심상억 외 2(종보편집위원 심준섭 교수, 심영철 교수) ※ 거주민 협조 : 울릉군새마을지도자협의회 심상걸 회장 등 |
❏ 청송심씨 선조의 역사(울릉도 거주)
❍ 20세 심의희 : 독도를 지켜낸 33명의 의병 중 1인 (영조)
❍ 21세 심능익 : 제5대 울릉군수 (1907년)
▲ 울릉초등학교 설립
❍ 22세 심흥택 : 제3대 울릉군수 (1903~1906년)
▲ ‘독도’ 명칭 최초 사용, ‘일본의 독도 강제침탈에 관한 보고서’ 등
❏ 현장답사 경로
① 울릉수토역사전시관 – 수토 33인 심의희
※ 소재지 :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2길 28
② 울릉군청 – 기록물
※ 소재지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2길 66 울릉군청
③ 독도박물관 – 심흥택 군수
※ 소재지 : 경북 울릉군 울릉읍 약수터길 90-17 독도박물관
④ 울릉역사문화전시관 – 심흥택 군수
※ 소재지 :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 1길 27
❏ 현장답사 결과(8월 21일부터 2박 3일 일정)
<수토역사전시관>
조선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울릉도를 ‘수토’라는 제도를 통해 관리하였습니다. 이 수토의 역사는 조선이 울릉도와 독도를 실효 지배하였음을 알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가 됩니다.
![]() |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2길 28 |
![]() |
독도를 지켜낸 33명의 의병 중 1인 沈의희 (영조) |
<독도박물관>
![]() |
독도박물관(경북 울릉군 울릉읍 약수터길 90-17 독도박물관) 홍보관 |
![]() |
전시관내에 심흥택 군수에 관한 언급만 있을뿐 구체적 내용은 확인 불가...현장근무 학예사는 ‘소장 사료가 없다’는 답변 |
<울릉역사문화자료관 (관장 黃성웅)>
울릉군청(문화팀, 총무과) : 소장 소료가 없고, 전직 郡廳 총무과장 면담토록 안내
![]() |
울릉역사문화전시관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 1길 27) |
울릉군청 관계부서 및 울릉군새마을지도자협의회 심상걸 회장 안내를 받아 울릉역사문화자료관 방문 黃성웅 관장(前 울릉군 총무과장)으로부터 기록물과 관련사료 확보하였다.
![]() |
울도군수 심흥택 보고서 (1906, 한국) |
역대 울릉군수 후손을 초청한 이력이 있는 黃 관장은 심흥택 군수님에 대하여 ‘역대 울릉군수 중 가장 존경받는 분으로서 대표적 치적은 '독도 명칭 최초 사용 군수'일 뿐 만아니라 독도는 울릉군 영토임을 명백히 밝혔다. 그리고 오늘날 울릉군청사를 현 위치에 확장 이전한 장본인이다’는 점을 강조했다.
![]() |
울릉역사문화전시관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도동 1길 27)...왼쪽부터 심상걸 울릉군새마을지도자협의회 회장, 영철 수원대 교수, 상억 총무이사, 황성웅 울릉역사문화전시관 관장(前 울릉군 총무과장), 준섭 종보편집위원(경운대 교수) |
❏ 울릉도 거주 일가분(2025년8월22일기준)
❍ 울릉군새마을지도자협의회 심상걸 회장(중장비사업 010-7161-0389)
※ 울릉도 행복한꽈배기 (소재지 경북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147)
❍ 울릉도휴행복한팬션 대표 심금휘 (010-9870-6383)
※ 소재지 경북 울릉군 북면 추산길 40 휴행복한펜션
❍ 울릉도승진수산 대표 심명분 (010-4705-6465)
※ 소재지 경북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147
❍ 개인사업 심정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