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紙榜) >
본래 신주를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야 하지만 신주가 없으면 지방을 써서 붙이고 제사를 지낸다. 지방은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에 쓰며, 길이는 21㎝ 너비는 7㎝ 정도로 한다.
지방에는 관직이 있으면 관직을 쓰고 관직이 없으면 학생(學生)이라고 쓰는데, 학생(學生)은 처사(處事)라고도 쓴다..
‘顯考○○○○府君 神位’ 또는 ‘顯考學生府君 神位’
‘顯妣○○夫人○○○氏 神位’ 또는 ‘顯妣孺人○○○氏 神位’
부모(顯考 顯妣), 조부모(顯祖考 顯祖妣), 증조부(顯曾祖考 顯曾祖妣), 고조부(顯高祖考 顯高祖妣), 남편(顯辟), 처(亡室), 백부(顯伯父 顯伯母), 형(顯兄 顯兄妣), 동생(亡弟 亡弟嫂), 자식(亡子)
배위는 남편의 관직에 따라 1품이면 정경부인(貞敬夫人), 2품이면 정부인(貞夫人), 3품이면 숙부인(淑夫人), 4품이면 영인(令人), 5품이면 공인(恭人), 6품이면 의인(宜人), 7품이면 안인(安人), 8품이면 단인(端人), 9품이면 유인(孺人)이라 쓰며, 관직이 없더라도 9품인 유인(孺人)이라 쓴다.
< 기제(忌祭) 축문 : 父母 >
維歲次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유세차간지 ○○월간지삭 ○○일간지
孝子 ○○ 敢昭告于
효자 ○○ 감소고우
顯考某官府君
현고모관부군
顯妣○○○氏 歲序遷易
현비○○○씨 세서천역
顯考(顯妣)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현고(현비)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饗
향
※ ‘顯’자와 뒤의 ‘향(饗)‘자는 존칭으로 반드시 줄을 바꾸어 한 자 올려서 써야 한다.
[ 풀이 ]
○○해 ○○달 ○○일 효자 ○○는 감히 밝혀서 고하나이다.
해가 바뀌어 아버지(어머니) 돌아가신 날이 돌아오니 은혜가 하늘과 같이 크고 넓어서 끝이 없나이다.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 諱日復臨 : 처와 아랫사람 ‘亡日復至’
※ 追遠感時 : 처와 아랫사람에게는 쓰지 않음
※ 昊天罔極 : 조부모 이상 ‘不勝永慕’, 처 ‘不勝悲苦’ 伯.叔父 ‘不勝感愴’
※ 謹以 : 처와 아랫사람 ‘玆以’
※ 恭伸奠獻 : 처와 아랫사람 ‘伸此奠儀’
[ 용어 해설 ]
o 유세차간지(維歲次干支)
간지는 그 해의 테세(太歲)를 쓴다. 금년이 경인(庚寅)년이면 ‘유세차경인(維歲次庚寅)’ 이라고 쓰면 되고, 그 뜻은 ‘이어 오는 해의 차례가 경인년으로 바뀌었다’는 것으로 이 문구는 어떠한 축문이든 그 해의 태세만 바꿔서 쓰면 된다.
o ○○월간지삭(○○月干支朔)
음력으로 제사를 맞는 달과 그 달의 초하루 일진(日辰)을 쓴다. 그 달이 5월이고 그 달의 초하루 일진이 갑자(甲子)인 경우 ‘5월 갑자삭(五月 甲子朔)’이라 쓴다.
o ○○일간지(○○日干支)
음력으로 제사를 맞는 날자와 그 날의 일진(日辰)을 쓴다. 15일이고 그 날의 일진이 임오(壬午)인 경우 ‘15일 임오(十五日 壬午)’라고 쓴다.
o 관칭 모 감소고우(關稱 某 敢昭告于)
제사를 받드는 신위에 대하여 자기와의 관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졸곡(卒哭 : 돌아가신지 3개월만에 지내는 제사) 전의 아버지 상사(喪事)에는 ‘고자(孤子)’ 어머니 상사(喪事)에는 ‘애자(哀子)’, 부모가 모두 돌아 가셨으면 '고애자(孤哀子)’라 쓴다.
할아버지 상사(喪事)에는 ‘고손(孤孫)’ 할머니 상사(喪事)에는 ‘애손(哀孫)’이라 쓰며 조부모가 모두 돌아가셨으면 '고애손(孤哀孫)’이라 쓴다.
졸곡 이후 부모 제사에는 ‘효자(孝子)’, 조부모 제사에는 ‘효손(孝孫)’, 증조부모 제사에는 ‘효증손(孝曾孫)’, 고조부모 제사에는 ‘효현손(孝玄孫)’이라 쓴다.
효(孝)자를 쓰는 것은 종자(宗子)의 경우에만 한하여 쓰며, 남편의 제사에는 ‘주부(主婦)’, 아내의 제사에는 ‘부(夫)’라고 각각 쓴다.
모(某)는 제사를 받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며, 감소고우(敢昭告于)는 ‘삼가 고하나이다’라는 뜻으로 제위가 존장인 경우에만 쓰게 된다. 처의 경우에는 ‘소고우(昭告于)’라고 쓰며, 아우 이하인 경우에는 ‘고우(告于)’라고만 쓴다.
o 현모친모관부군(顯某親某官府君)
현모친은 제위에 대한 경칭어로 아버지는 ‘현고(顯考)’, 어머니는 ‘현비(顯妣)’, 조부는 ‘현조고(顯祖考)’, 조모는 ‘현조고(顯祖妣)’, 남편은 ‘현벽(顯辟)’, 처는 망실(亡室)‘, 아랫사람은 ‘현(顯)’자를‘망(亡)’자로 바꿔서 쓴다.
모관(某官)은 관직을 쓰는데, 관직이 없으면 ‘학생(學生)’이라고만 쓰면 되며, 안제사(內祭)일 경우 남편의 관직이 있으면 이에 따라서 봉해서 쓴다. (지방 쓰는 법 참조)
부군(府君)은 남자에게 쓰며, 여자는 성씨의 관향과 성씨를 쓴다.
o 유세차(維歲次) : 해의 차례가 이어 온다는 뜻이다.
o 간지(干支) : 태세 월진 일진의 육십갑자를 말한다.
o 삭(朔) : 초하루라는 뜻이다.
o 효자(孝子) : 아들이라는 명칭이다.
o 감소고우(敢昭告于) : 밝혀서 고한다는 뜻이다..
o 현고부군(顯考府君) : 아버지를 뜻하며 존칭하는 말이다.
o 세서천역(歲序遷易) : 세월이 흘러 바뀌었다는 뜻이다.
o 휘일부임(諱日復臨) : 돌아가신 날이 다시 오다.
처와 아우 이하에는 망일복지(亡日復至)라고 쓴다.
o 추원감시(追遠感時) : 돌아가신 때를 맞아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한다는 뜻이다.
o 호천망극(昊天罔極) : 넓은 하늘과 같이 부모의 은혜가 크다는 뜻이며, 부모의 기제축에만 쓴다.
o 불승영모(不勝永慕) : 영원하신 조상님의 은혜가 크다는 뜻으로 조부 이상 기제사에 사용한다. 방친일 경우에는 ‘불승감창(不勝感愴)’이라 쓴다. o 근이(謹以) : 정성을 다한다는 뜻이다.
o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린다는 뜻이다.
o 상향(尙饗) : ‘흠향하십시오’라는 뜻이다.
< 묘제(墓祭) 축문 >
維歲次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유세차간지 ○○월간지삭 ○○일간지
○○代孫 ○○敢昭告于
○○대손 ○○감소고우
顯○○代祖考某官府君
현○○대조고모관부군
顯○○代祖妣○○夫人○○○氏 之墓
현○○대조비○○부인○○○씨 지묘
氣序流易 雨露旣濡(春)[霜露旣降( 秋 )] 瞻掃封塋 不勝感慕
기서유역 우로기유(봄)[상로기강(가을)] 첨소봉영 불승감모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饗
향
[ 풀이 ]
○○해 ○○달 ○○일 ○○대손 ○○는 감히 밝혀서 고하나이다.
절기가 흐르고 세월이 바뀌어 (봄) 雨露가 이미 젖었습니다. (가을) 서리가 벌써 내렸습니다.
우러러 묘소를 소제하오니 그 우러나는 생각을 이길 수 없습니다. 삼가 淸酌과 庶羞로써 공경히 歲事(해마다의 일)로 드리오니 흠향하소서.
[ 용어 해설 ]
o 기서유역(氣序流易) : 절기가 바뀌었다는 뜻이다.
o 우로기유(雨露旣濡) : 봄이 되어 비와 이슬이 내린다는 뜻이다.
o 상로기강(霜露旣降) : 찬서리가 이미 내렸다는 뜻이다.
o 첨소봉영(瞻掃封塋) : 선조의 산소를 깨끗이 단장한다는 뜻이다.
o 불승감모(不勝感慕) : 영원하신 조상님을 사모하는 정을 이기지 못한다는 뜻이다.
< 산신제(山神祭) 축문 >
묘제를 지내기 전에 산신제를 지내는데, 제물은 주과포로 간단하게 차리되 포는 통북어를 쓰며 과일은 껍질을 벗기지 않는다.
維歲次干支 ○○月干支朔 ○○日干支
유세차간지 ○○월간지삭 ○○일간지
幼學 ○○ 敢昭告于
유학 ○○ 감소고우
土地之神 沈○○ 恭修歲事于
○○代祖考某官府君 之墓
○○대조고모관부군 지묘
維時保佑 實賴神休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
유시보우 신뢰신휴 감이주찬 경신전헌 상
饗 향
[ 풀이 ]
○○해 ○○달 ○○일 유학 ○○는 감히 밝혀서 고하나이다.
심○○(초헌관)는 ○○代祖考某官府君 묘소의 時祭祀를 공손히 지내는바 항시 도우심을 받사오니 진실로 神의 아름다운 은혜에 힘입어서 입니다.
감히 주찬으로써 공경히 펴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 용어 해설 ]
o 유시보우(維時保佑) : 천신께서 보호하여 주신다는 뜻이다.
o 신뢰신휴(實賴神休) : 신령님의 은혜를 받는다는 뜻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