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의금부사(휘 재)신도비명

판중추부사공 휘 재 묘소
소재지: 광주군 실촌면 오향동

묘 표 석


十四世祖 判中樞府事兼 判義禁府事 沈公 諱 梓 神道碑銘
公之先慶尙道靑松府人也鼻祖諱洪孚仕麗朝文林郞衛尉寺丞生諱淵閤門祗侯生諱龍吏曹正郞追封門下侍中靑華府院君生諱德符號虛江三重大匡左侍中靑城郡忠義伯入 李朝特進左議政錄功靑城伯靑城府院君辭勳不受 贈諡定安生諱溫領議政 贈諡安孝誕生 昭憲王后靑川府院君生諱澮左議政靑松府院君 贈諡恭肅連三世秉勻生諱湲內資寺判官 贈左贊成生諱順門議政府舍人 贈領議政生諱逢源號曉窓同知敦寧府事淡於勢利休官養靜 贈左贊成生諱鍵號警省軒承文院正字 贈領議政生諱喜壽號一松左議政靑城府院君 贈諡文貞生諱昶號霞谷溫陽郡守以孝 贈吏曹判書生諱儒行號醉醒堂卒官司憲府執義 贈議政府左贊成公之考妣 贈貞敬夫人安東權氏郡守諱紞之女也公生于 仁祖甲子諱梓字文叔號養拙齋品資溫雅操履剛方始受學業聰明絶倫文詞日就戊子中司馬甲午登明經科選入槐院丁酉薦史局授檢閱俄遷說書歷司諫院正言戊戌魚川督郵有窠  孝廟特下曾經臺侍有風力人擇差之敎時人皆厭避蔡湖洲秉銓見制郞官終歸於公己亥拜兵曹正郞庚子丁外憂喪祭一遵家禮晨夕祭奠未嘗替行羸毁濱死觀者莫不危之癸卯拜司憲府持平差書狀官赴燕甲辰還拜副校理每登法筵講義凱切聲音弘亮宋俊吉嘆曰國朝講官無出鄭經世今沈梓也丙午繡衣湖南丁未拜同副承旨時未准職  特命並擬而下點異恩也除刑曹參議左承旨戊申按察嶺南剖決如流吏民稱以神明己酉春瓜熟  上嘉其績特令仍任辛亥丁內憂如前執喪過禮  顯廟特賜夏等祿公聞命感泣曰國恩至此益不知死所癸丑服闋陞戶曹參判甲寅按京畿道觀察使乙卯遷廣州府尹丙辰入吏曹參判筵中都憲尹鑴主北伐議兵判金錫胄曰師期己定而軍粮不足是可憂也公進曰復讐雪恥大義固好而當主少國危之日興師出疆非其時也丁巳春憫旱之日奢侈日甚賄賂行公極論禁斷之策冬差副价赴燕及還行槖蕭然己未以大司諫仍坐事罷築室于安山之達山村數椽茅屋不蔽風雨優閑自適庚申蒙敍不欲出仕時黨禍孔慘人人惴揣且値  仁敬王后喪諸宰致書勸出屈意而從之俄拜刑曹參判壬戌誣獄起以同義禁叅鞫覈出先者僞書委官以下相顧失色遂解其獄癸亥拜都承旨兼內局提調時  上患痘侍藥盡誠  上旣瘳賞加嘉義錫土田臧獲各殿賜物便藩辭不獲乙丑授漢城判尹兼觀象監提調戊辰拜正憲工曹判書己巳差  王世子安胎使還拜吏曹判書當朝臣進退之際甄用癈痼輒禀旨而後行人或謂過於謹愼而죏不敢擅便也庚午拜司憲府大司憲以病辭遞歷議政府左參贊壬申差遠接使還拜  世子左賓客癸酉入耆社以三子侍從臣推恩陞崇祿判中樞府事公益懼盛滿休退甚力  上終不許是年十月卒于長興洞第享年七十卒之夜有金星犯南極赤光耀于室前訃聞  上敎曰耆舊之臣遽爾長逝震悼之懷曷有其己喪葬之需別爲題給以表予意遣禮官致祭各宮殿賜弔致祭奉窆于廣州郡實村面五香里子坐之原配貞敬夫人廣州李氏仁祖癸亥生父都事諱象乾祖判決事諱如圭曾祖領議政諱德馨外祖參判姓諱柳公亮文化人  顯宗丙午卒享年四十四墓公左祔窆生三男三女男長最良判決事娶安東權氏牧使德徹女次仲良黃海監司娶全州李氏禎之女娶平康全氏縣監起漢女次季良同副承旨娶羅州丁氏進士道元女女長適丁道謙正字羅州人次適洪萬遂校理豊山人次適權益昌生員安東人也撰曰
公夙負令望克紹家聲受知  三朝致位一品迨其季年三子並登顯列袍笏盈庭享用五福考終于位遂作元祐完人噫積德修行之效信乎有徵矣余與公有世好少相善中間我落窮鄕公登雲路踪跡雖殊心期莫違自結姻親得聞居官之勤敏及內行之純懿尤詳悉窃嘗敬歎今者兩胤執義與承旨持狀而索語於余試使兒輩讀而聽之則其言質而無隱直而不華亦多余耳目所聞見儘惇史也奚容贅焉公平生寡言笑少許可而時時訪余於鄕村與之論古今事展盡底蘊殆忘寢食其憂時戀君之言亹亹不止其溫雅端重之操明穎練達之識至今森然不忘而歲月幾何遽隔古今讀此狀不覺淚零嗚呼淸白如公而惟畏人知才智如公而歛之若愚立朝四十年小心勤愼盡職奉公不喜隨俗黨比以饕權勢故累經朝著之飜覆而能禍不及身名俱全天錫純嘏慶流後人詎不韙歟
通訓大夫成均館進善 丁時翰 撰(號 愚潭 羅州人)
通政大夫黃海監司 不肖男 仲良 書 並篆

14세조 판중추부사겸 판의금부사 심공 휘 재(梓) 신도비명
공의 선계는 경상도 靑松府 사람이다. 시조는 휘 홍부(洪孚)니 고려조에 벼슬하여 문림랑 위위시승이요 휘 연(淵)을 낳으니 합문지후요 휘 용(龍)을 낳으니 이조정랑이요 문하시중 청화부원군에 추봉되었고 휘 덕부(德符)를 낳으니 호가 허강(虛江)이요 삼중대광 좌시중 청성군 충의백이었으며 이조에 들어와 좌의정에 특진하였고 훈공으로 청성백 청성부원군이었으나 훈공은 사양하고 받지 않았으며 시호는 定安公이요 휘 온(溫)을 낳으니 영의정이요 시호는 安孝公이며 昭憲王后를 탄생하였고 靑川부원군이다.
휘 회(澮)를 낳으니 좌의정이요 靑松부원군이며 시호는 공숙공(恭肅公)이요 3代를 연이어 정승으로서 정권을 잡았다. 휘 원(湲)을 낳으니 내자시판관이요 좌찬성에 증직되었고 휘 순문(順門)을 낳으니 의정부 사인이요 영의정에 증직 되었으며 휘 봉원(逢源)을 낳으니 호가 효창(曉窓)이요 동지돈녕부사였고 권세와 이욕에 담담하여 벼슬에 나가지 않고 조용히 지냈으며 좌찬성에 증직되었고 휘 건(鍵)을 낳으니 호가 경성헌(警省軒)이요 승문원 정자였으며 영의정에 증직되었고 휘 희수(喜壽)를 낳으니 호가 一松이요 좌의정 靑城부원군 이었으며 시호는 文貞公이고 휘 창(昶)을 낳으니 호가 하곡(霞谷)이요 온양군수였으며 효도로써 이조판서에 증직되었고 휘 유행(儒行)을 낳으니 호가 취성당(醉醒堂)이요 벼슬은 사헌부집의였고 의정부 좌찬성에 증직되었으니 公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에 증직된 안동권씨니 군수 휘 담(紞)의 따님이다.
公이 仁祖 甲子(1624)년에 낳았으니 휘는 재(梓)요 자는 文叔이며 호는 양졸재(養拙齋)이고 성품과 바탕이 온아하고 지조와 행실이 방정하여 처음으로 학업을 받을 때 총명함이 무리에서 뛰어났고 문사가 날로 성취되었다. 戊子(1648)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甲午(1654)년에 명경과(明經科)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뽑혀 들어갔고 丁酉(1657)년에 史局에 천거되어 검열에 제수되었고 조금 있다가 설서로 옮겼으며 사간원 정언을 역임하고 戊戌(1658)년에 魚川의 순찰관 자리가 비어있어 효종이 특별히 일찍이 대시(臺侍)를 지낸 사람으로서 남을 감화시키는 사람에게 적임자를 뽑아 보내라는 교지가 내리니 그 때 사람들이 모두 싫다고 피하자 채호주(蔡湖洲), 유후(裕後)가 이조판서로 있으면서 郞官에게 물색하라고 하여 결국은 公에게 돌아왔다.
己亥(1659)년에 병조정랑에 임명되었고 庚子(1660)년에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상장(喪葬)의 제례를 한결같이 가례(家禮)를 좇았고 아침 저녁으로 제사지내는 등 상제노릇 하는데 지쳐 몸이 야위었고 죽을 지경에 이르니 보는 사람들이 위험하다고 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癸卯(1663)년에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고 서장관으로 뽑혀 중국 연경(燕京)에 갔다가 甲寅(1674)년에 돌아와서 부교리에 임명되어 법연(法筵)에 올라갈 때마다 강의하는 것이 아주 적절하고 음성이 명랑하니 宋浚吉이 감탄하여 말하기를 國朝의 강관(講官)중 鄭經世보다 나은 사람이 없었는데 지금은 심재(沈梓)이다 하였다.
丙午(1666)년에 암행어사로 호남지방을 순찰하였고 丁未(1667)년에 동부승지에 임명되니 그 때 인준되지 못할 벼슬이라 하여 임금이 특명으로 모든 것을 헤아려서 권점(圈點)을 찍으라 하였으니 특별한 은전이었다. 형조참의 좌승지를 역임하고 戊申(1668)년에 영남을 안찰(按擦)하여 판단함이 흐르는 물 같으니 아전과 백성이 神明이라고 일컬었다. 己酉(1669)년 봄에 만기가 되었으나 임금이 그 실적을 가상히 여겨 특별히 유임하라고 명령하였다.
辛亥(1671)년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여전히 상제노릇 하는 것이 예에 지나치니 현종이 특별히 춘하추동 네 번에 걸쳐 내는 조세(租稅)중 여름에 내는 조세만 내라고 하니 공이 명령을 듣고 감격하여 울면서 말하기를 나라의 은혜가 이에 이르니 죽을 바를 모르겠다 하였다.
癸丑(1673)년에 어머니의 상복을 벗고 호조참판에 승진되었으며 甲寅(1674)년에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가 乙卯(1675)년에 廣州부윤으로 옮겼고 丙辰(1676)년에 이조참판으로 들어왔는데 연중(筵中)에서 대사헌 윤휴(尹鑴)가 북벌의(北伐議)를 주장하니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가 말하기를 군사를 출전시킬 시기는 이미 정하여졌으나 군량이 부족한 것이 걱정이라고 말하니 공이 나가서 말하기를 복수하여 설욕하는 대의는 진실로 좋으나 작은 나라로서 위험한 때에 군사를 일으켜 국경을 넘는다는 것은 그 때가 아니라고 하였다.
丁巳(1677)년에 가뭄은 심하여 민망한데 사치가 날로 심해지고 뇌물을 주고받는 일이 횡행하자 공이 금단(禁斷)하는 계책을 극론하였고 겨울에 正使의 종사관으로 연경에 갔다가 돌아왔는데 여행주머니 속에 아무것도 없었다.
己未(1679)년에 대사간으로써 일에 연좌되어 파직되자 안산의 達山村에 두어 개의 서까래를 얽어 띠 집을 짓고 비바람을 가리지 못하나 속세를 떠나 아무것에도 속박되지 않고 자기가 하고싶은 대로 마음 편히 살았다. 庚申(1680)년에 풀렸으나 나가서 벼슬하려고 하지 않았으니 그때 당화(黨禍)가 매우 참혹하여 사람들이 두려워서 벌벌 떨었기 때문이었다. 또 仁敬王后의 상을 당하여 여러 재상들이 편지를 보내어 나와서 뜻을 굽히고 좇을 것을 권하였다. 조금 있다가 형조참판에 임명되었고 壬戌(1682)년에 무옥(誣獄)이 일어나자 동지의금부사로써 국청(鞠廳)에 참여하여 먼저 위조문서를 만든 사람을 조사하여 가려내니 죄인을 국문하던 재판장 이하가 서로 돌아보고 얼굴빛이 변하였으므로 드디어 그 옥사를 해결하였다.
癸亥(1683)년에 도승지겸 내국제조(內局提調)에 임명되니 그때 임금이 천연두를 앓고 있는데 약 시중에 정성을 다하여 임금의 병환이 낳으니 상으로 가의(嘉義)에 올려주고 밭과 종을 주었고 각 궁전에서 주는 물건은 많아서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乙丑(1685)년에 한성판윤 겸 관상감 제조에 임명되었고 戊辰(1688)년에 정헌대부 공조판서에 제수 되었으며 己巳(1689)년에 王世子 안태사(安胎使)로 차임 되었다가 돌아와서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그때 조정의 신하들이 나가고 물러날 때에 뽑아 쓰는 것이 고질이 되어 문득 임금에게 아뢴 뒤에 행하니 사람들은 더러 너무 근신한 것이라고 말하였으나 감히 혼자서 일을 제멋대로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庚午(1690)년에 사헌부 대사헌으로 임명되었는데 병으로 사직하고 의정부 좌참찬을 역임하였고 壬申(1692)년에 원접사(遠接使)에 차임 되었다가 돌아와서 세자 좌빈객에 임명되었으며 癸酉(1693)년에 기사(耆社)에 들어갔고 세 아들이 시종신(侍從臣)으로 있었으므로 은혜를 미루어 崇祿에 승진되어 판중추부사가 되니 공이 더욱 두려워하여 만기가 되었으니 물러가 쉬겠다고 힘써 아뢰었으나 임금이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이해(1693) 시월에 長興洞 집에서 돌아가니 향년이 70이요 돌아가던 날밤에 金星이 남극을 범하여 붉은 빛이 집 앞을 환하게 비쳤다. 부음(訃音)이 들리자 임금이 교지를 내려 말하기를 나이 많은 신하가 갑자기 별세했으니 슬퍼하여 애도하는 마음 어찌 그치겠는가. 상장에 쓰는 제수를 별도로 주어 내 뜻을 표하라 하고 예관(禮官)을 보내어 제사지내게 하고 각 궁전에서도 부조를 주어 제사를 지냈다. 광주군 실촌면 오향리 자좌(廣州郡實村面五香里子坐)의 언덕에 장사지냈다. 배위는 정경부인 廣州李氏니 인조 癸亥(1623)년에 낳았고 아버지는 도사 휘 象乾이요 할아버지는 판결사 휘 如圭요 증조는 휘 덕형(德馨)이며 외조는 참판 문화 유공량(文化 柳公亮)이다.
현종 丙午(1666)년에 돌아갔으니 향년이 44요 묘는 공의 묘 왼편에 합폄(合窆)하였다. 3男 3女를 두었으니 장남은 최량(最良)으로 판결사요 안동권씨 목사 덕철(德徹)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다. 2男은 중량(仲良)이니 황해감사요 전주이씨 정(禎)의 따님에게 장가들었으며 또 平康全氏 현감 起漢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다. 3男은 계량(季良)이니 동부승지요 羅州丁氏 進士 道元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다. 장녀는 正字 羅州 丁道謙에게 출가하였고 2女는 교리 豊山 洪萬遂에게 출가하였으며 三女는 生員 安東 權益昌에게 출가하였다.
 撰은 다음과 같다.
 公은 일찍이 좋은 명망을 가지고 능히 집안의 명성을 이었네.
 세 조정에서 알아주고 벼슬은 일품이었네.
 그 만년에 이르러 세 아들이 모두 높은 지위에 올라 도포와 홀이 뜰에 가득하였네.
 다섯 가지 복을 누리고 벼슬에서 천명을 다하고 돌아갔으니 宋나라 원우(元祐) 연간의 완전한 사람이 되었네.
 아아 덕을 쌓아 행실을 닦는 효험은 진실로 증거가 있도다.
 나는 公과 더불어 세의가 있어 젊어서는 서로 잘 지냈으나 중간에 나는 먼 시골로 떨어졌고
 公은 벼슬길에 올랐으니 자취는 비록 다르나 마음은 허락한 벗으로 어김이 없네.
인친(姻親)을 맺음으로부터 벼슬에 이르면서 부지런하고 민첩하다는 것을 들었고 집안에 있을 때의 순수하고 아름다움은 더욱 자상히 알아 남몰래 일찍이 공경하고 감탄하였더니 지금 두 아들이 집의와 승지로서 행장을 가지고 나를 찾아와 말을 하는데 시험삼아 아이들로 하여금 읽으라하고 들으니 그 말이 진실하고 숨김이 없으며 정직하고 화려하지 않으니 또한 내가 귀와 눈으로 듣고 본바 많으니 진실로 도타운 덕을 기록한 역사이다.
어찌 쉽게 군더더기 같은 말을 하리오. 公은 평생 말과 웃음이 적었고 허가하는 것도 적었으나 때때로 나를 시골로 찾아와 같이 古今의 일을 논할 때 속에 쌓은 것을 다 펴고 거의 자고 먹는 것을 잊을 만큼 그 시대를 걱정하고 임금을 사모하는 말을 부지런히 힘써 하고 그치지 않으니 그 온아하고 단중(端重)한 지조가 밝고 영리하며 익숙하게 통달한 지식은 지금까지도 깊이 간직하고 잊지 않는데 세월이 얼마나 빨리 지나갔나 지금 이 행장을 읽고 눈물이 떨어지는 것을 깨닫지 못하였다.
아아 청백(淸白)한 것이 公과 같으나 오직 사람이 알까 두려워하고 재지(才智)가 공과 같으나 거두어 버리기를 어리석은 사람과 같이하며 조정에 있은지 40년에 조심하고 근신하며 벼슬이 다할 때까지 나라와 사회를 위하여 힘써 일하고 속세를 따라 당(黨)의 무리끼리 의를 두터이 하여 권세를 탐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으므로 여러 번 조정이 바뀌었어도 능히 화가 미치지 않고 몸과 이름을 모두 온전히 하여 하늘이 순수한 복을 주어 경사가 뒷사람에게 흐르니 어찌 아름답지 아니하리오.
통훈대부 성균관 필선 정시한(丁時翰)이 지음(호는 愚潭 羅州人)
통정대부 황해감사 불초남 중량(仲良)이 글씨를 쓰고 아울러 전서도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