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조간화(山鳥看花: 산새가 꽃을 보다)

앞의 <수금문향>과 쌍폭을 이루는 그림으로 현재의 수묵담채 화조화가 말년에 성취한 탈속(脫俗)의 경지를 잘 보여주는 그림이다. <수금문향>이 동적(動的)이라면 이 그림은 정적(靜的)인 그림이다. 오랜 화도 수련의 결과 그림에서 덜어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깨닫고 그린 듯 군더더기 없는 구성과 최소한의 먹과 선 그리고 알맞은 고운 담채의 사용이 화면 위에 어우러져 있다.

톱니 모양의 볏을 가진 후투티새는 가느다란 가지 위에 정말 사뿐히 앉아있다. 부리와 입 주위는 주황빛이고, 머리의 볏은 연지빛이며, 가슴 부분에서는 연지빛이 하얗게 바뀌어 나갔다. 날개의 시작 부분은 비취빛이고, 다시 날개 끝은 먹색 처리해서 나뭇가지를 만나 먹선과 조화를 이루게 했다. 다리는 과감히 생략하여 깃털 속에 감춰 놓았다.

나뭇잎들은 담묵으로 듬성듬성 문질러 놓고 잎맥을 몇 개의 선으로 간략히 그었지만 어떤 나뭇잎보다도 더 생생한 나뭇잎이 되었다. 또한 화면 아래에는 여백으로 비워두어 새의 위래로 산속의 상쾌한 기운이 감도는 것 같다.

그리고 새가 앉은 가지는 난초 잎처럼 길게 떨어지다 인장 속으로 들어가 버렸다. 인장을 가지 끝에 걸치게 찍어서, 가지 끝에 인장이 매달려 있는 것 같다, 현재는 이와 같이 말년에는 인장의 위치까지도 화면 구성에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였다. 인장은 앞의 <수금문향>과 마찬가지로 "심씨이숙(沈氏頤叔)"이란 주문방형이다. (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