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관폭(舟游觀瀑: 배타고 폭포구경하다)

이 역시 『개자원화전(芥自園畵傳)』 권3, 17쪽의 관동산법을 응용해서 그린 그림이다. 주산 상봉은 피마준으로 부드럽게 처리하고 중봉에서는 부벽준으로 변화를 주었다. 큰 산 중턱에서부터 큰물로 바로 쏟아져 내리는 폭포를 구경하기 위해 배를 타고 그 밑에 와서 이를 바라보고 있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큰물이 강일 수도 있고 호수일 수도 있으며 바다일수도 있는데, 산은 물가에 절벽을 이루며 드높게 솟아있다.

배는 물가에 솟구친 남근석(男根石) 모양의 선돌 근처에 대어 놓았는데 풍류객 하나가 그 위에 앉아 폭포를 바라보고 있다. 사공이 노를 못놓고 힘들여 매달려 있는 것을 보면 폭포에서 흘러오는 물살이 매우 거센 모양이다. 관동의 필법을 의식했기 때문에 필묘 위주의 북방화법을 주로 구사하고 있다.

관폭하는 사람의 자세가 경직돼 있는 것이나 산석의 표현이 너무 정형화돼 있는 것 등으로 보면 아직 젊은 시절의 작품인 듯하다. 그 사실은 그림 오른쪽 상단에 써 놓은 현재 자필의 관서(款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신년(1740, 현재 34세) 가을날에 계거재의 필법으로 그린다. (庚申秋日, 季巨齋筆法)"고 한 것이다. 기년작중 가장 이른 시절의 그림이다. 이후 변화되는 그림과 비교해 볼 수 있는 기준작이다. "현재(玄齋)"라고 세로로 새긴 방형주문 인장과 "심사정인(沈師正印)"이라는 방형 백문 인장이 나란히 찍혀 있다. (鄭)